쇼트폼·OTT 앱 사용 비교 분석
쇼트폼 월 52시간·OTT는 7시간
취향에 맞는 콘텐츠 효율적 소비
회당 1~2분 내외 드라마도 인기
中이어 韓서 전용 플랫폼 선보여
이미지 확대
한번 클릭하면 헤어 나올 수 없는 ‘쇼트폼’(짧은 영상) 콘텐츠가 대세다. 기존 콘텐츠의 하이라이트를 편집한 것뿐만 아니라 최근엔 제작 단계에서부터 ‘세로’ 화면에 ‘짧은 길이’로 기획된 쇼트폼 광고, 드라마, 예능 등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인공지능(AI) 추천 기능으로 취향에 맞는 다량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다 보니 쇼트폼이 긴 길이의 영상물을 대체하는 모습이다.
30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5120만명을 대상으로 ‘쇼트폼 앱’(애플리케이션)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앱’의 사용 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난달 쇼트폼 앱(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52시간 2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OTT 앱(넷플릭스·쿠팡플레이·티빙·웨이브·디즈니+) 사용 시간인 7시간 17분보다 무려 7.1배나 길다. 지난해 8월 쇼트폼 앱의 사용 시간(46시간 29분)이 OTT 앱(9시간 14분) 대비 5.0배였던 점을 감안하면 1년 새 쇼트폼 이용 시간과 비중은 큰 폭으로 늘었다.
쇼트폼이 동영상 시청의 기본이 되자 드라마 시장도 급변하기 시작했다. 예전엔 기존 드라마의 주요 내용을 유튜브 쇼츠 등을 통해 짧게 보여 주는 데 그쳤다면 최근엔 회당 1~2분 내외의 쇼트폼 드라마가 각광받고 있다. 작품당 50~150화 정도로 구성되는데 웹툰처럼 편당 유료로 과금이 가능해 치정이나 복수 등 자극적인 주제의 드라마가 많은 편이다.
쇼트폼 드라마 시장에선 중국 업체들이 앞서가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시장 규모만 373억 9000만 위안(약 7조원)이다. 대표적으로 중국 COL그룹의 ‘릴쇼트’와 덴중테크의 ‘드라마박스’가 있는데 릴쇼트의 경우 올 1분기 누적 다운로드 횟수가 3000만회를 돌파했으며 드라마박스는 700만회를 넘어섰다. 기업 입장에서 쇼트폼 드라마는 AI 기술을 사용해 기존 드라마 제작비 대비 적은 금액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선 지난 4월 폭스미디어가 최초로 쇼트폼 드라마 전용 플랫폼인 ‘탑릴스’를 선보였다. 이어 7월엔 스푼랩스가 ‘비글루’를 내놨는데 스푼랩스의 경우 대형 게임사인 크래프트톤이 1200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단행하며 관련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기도 했다. 이달엔 토종 OTT 왓챠도 쇼트 드라마 전문 플랫폼 ‘숏차’를 출시했다. 카카오벤처스는 글로벌 쇼트폼 드라마 시장 규모를 13조원으로 추산했다. 한국 시장은 65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민나리 기자
2024-10-01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