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철마다 이슈마다 어김없이 바뀌는 길가의 현수막은 쓸모를 다하고 나면 어떻게 버려질까. 서울시가 지난해 정비한 현수막은 모두 330만개. 올해는 상반기에만 100만개를 정비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손길을 거쳐 다시 쓸 수 있는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재탄생되고 있다. 중구의 현수막 우산, 송파구의 현수막 장바구니 등이다. 애정이 담긴 현수막 업사이클링 제품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면 어떨까.
“어린이집·학교 쓰레기 줍기 가방으로 쓰이는 폐현수막”
송파구의 주민센터에 가면 폐현수막 장바구니를 받아 볼 수 있다. 송파구가 올해 제작한 폐현수막 장바구니만 2130장으로 이 가운데 1275장이 주민센터에 보급됐다.
송파구는 2008년부터 폐현수막을 수거해 장바구니, 손가방, 앞치마 등 리사이클링 제품을 제작해 주민들에게 무상제공했다. 이밖에 주민들 요구에 따라 농사용 막, 마대, 앞치마, 선풍기 커버 등을 제작했다.
현수막 리사이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청결’이다. 8년째 오금동 물품관리소에서 폐현수막 리폼 작업을 해온 박양금씨는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어 깨끗한 현수막을 선별한다”며 “특히 어린이집이나 학교 등 단체에서 쓰레기 줍기 가방 용도로 주문이 많이 온다”고 했다.
“갑자기 오는 비엔 주민센터 들러 현수막 우산 찾아요”
서울 중구는 지난 10월 폐현수막으로 공유 우산 430개를 제작했다. 폐현수막 우산은 동 주민센터와 구청, 보건소, 복지관 등에 비치돼 누구나 대여할 수 있다. 우산은 제각각 다른 현수막을 이어붙여 알록달록한 모양새다. 앞서 장바구니나 마대 등도 만들어 보았지만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유 우산을 제작했다고 중구 관계자는 설명했다.
은평구는 어르신 일자리 사업단과 함께 폐현수막을 에코백으로 제작하고 있다. 서대문구 등 자치구에서는 요청이 있는 경우 폐현수막을 무료로 배포한다. 이밖에 리사이클링이 어려운 경우 파쇄후 시멘트 재료로 사용되는 방안 등도 검토되고 있다.
버려진 현수막은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소각되는데 그 때마다 유해물질이 배출돼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꼽힌다. 버려지는 현수막에 쓸모를 더한 ‘업사이클’ 제품의 가치가 단순한 장바구니와 우산을 넘어서는 이유다.
서유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