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이 임박하자 소속 의원들에게 ‘비상대기령’을 내렸다. 영장 집행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 등 돌발상황이 빚어질 수 있고, 일부 격분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국회로 난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대비에 들어간 것이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에서 전날 윤 대통령이 지지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힌 데 대해 “극우 세력이여, 대동단결하라. 그리고 나를 지켜 달라고 하는 그런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어 의원들이 국회에서 비상 대기하고 상황을 예의주시하려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예정에 없던 비상의원총회도 소집했다. 이날 오전 의총 소집 공지에는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에서 자원봉사하는 의원을 제외한 모든 의원 참석 요망”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윤석열 체포를 계기로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면서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는 순간 특수공무집행방해이자 내란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추가 임명을 촉구했다. 최 대행의 헌법재판관 2명 임명으로 ‘8인 체제’가 되면서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속도가 붙게 됐지만 진보 성향인 마 후보자의 임명을 완결지어 탄핵에 쐐기를 박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최 부총리의 위헌·위법행위, 직무유기에 대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이 최 대행에 대한 탄핵 카드를 당장 꺼내지는 않을 분위기다.
이날 비상의총에선 쌍특검법(내란·김건희여사특검법)을 비롯해 양곡관리법 등 재의요구권(거부권)이 행사된 8개 법안의 재의결 시기와 방식을 놓고 ‘상황을 지켜보자’는 의견과 ‘곧바로 추진하자’는 주장이 팽팽하게 갈렸다. 특히 여당에서 8표 이상의 이탈표를 끌어내기 쉽지 않은 상태에 재의결을 추진했다가 부결되면 여권 결집만 유도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