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만병통치약이라는 것은 없다. 그렇지만 만병통치약 언저리까지 간 약이 있긴 하다. 약 120년 전 약으로 만들어진 ‘아스피린’이다. 아스피린은 최초로 합성된 해열 및 소염진통제이다. 처음에는 관절염이나 감기로 인한 발열, 근육통 등에 사용됐다가 이후에는 혈전으로 인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을 낮춰주는 데 활용됐다. 실제로 미국에서만 약 2900만명이 심혈관질환 발병위험을 줄이기 위해 매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간염, 간암, 난소암, 당뇨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속속 밝혀지고 있다.
그렇지만 아스피린이 염증 반응에 중요한 메신저 분자를 만드는 시클로옥시게나제 효소(COX)를 억제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여전히 아스피린이 각종 질병을 억제하는 자세한 작용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텍사스 알링턴대 화학·생화학과 연구팀은 아스피린이 COX 발생을 억제하는 과정을 조금 더 상세하게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5~28일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연례 컨퍼런스 ‘디스커버리 BMB’에서 발표됐다.
아스피린은 다양한 효과가 있지만 장기간 복용하면 위장 장애나 내출혈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과학자는 부작용이 적고 더 안전한 약을 개발하려고 하지만 아스피린과 똑같은 효과를 가진 약물 개발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연구팀은 아스피린이 과잉 면역반응 중 하나인 사이토카인 폭풍을 유발하는 전사인자를 조절하는 동시에 다양한 염증 유발 단백질과 관련 RNA를 차단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아스피린이 인돌아민 디옥시게나제(IDO)라는 효소를 억제해 아미노산 트립토판이 키뉴레닌으로 분해되는 속도를 늦춘다는 사실도 연구팀은 밝혀냈다. 트립토판 대사는 염증과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IDO1은 신체 면역 시스템이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암 면역요법을 쓸 때 차단이 필요한 중요한 표적이다. IDO1과 COX는 연관된 만큼 아스피린이 COX와 IDO1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면역 치료제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이끈 수브랑수 만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아스피린이 가진 단점은 없애고 효과는 똑같은 대체 약물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