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보다 0.8%P 올라 16.4%
작년 12월, 45개월 만에 ‘반등’
제조업 취업자, 12년 만에 최저
“경기 부양책 통해 고용 살려야”
이미지 확대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했다. 제조업 취업자도 12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하면서 길어진 내수 부진으로 고용 시장 한파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 포인트 상승한 16.4%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은 2021년 2월(26.8%)의 3.7% 포인트 상승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고용보조지표3은 노동시장에서 채워지지 못하는 실질적 일자리 수요까지 포함한 지표다. 실업률과 달리 시간 관련 추가 취업가능자(주당 36시간 미만 취업자 중 추가 취업을 희망하면서 가능한 자)까지 계산하기 때문에 체감실업률로 불린다. 지난달 시간 관련 추가 취업가능자는 13만 1000명으로 지난해 1월 대비 45.3% 증가했다.
고용보조지표3은 2021년 1월 27.2%를 기록한 뒤 하락세가 이어졌다. 전년 대비로 보면 2021년 3월부터 45개월 동안 상승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전년 대비 0.5% 포인트 상승한 16.0%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0.8% 포인트로 상승폭을 더 키웠다.
내수 부진 장기화 여파는 제조업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439만 6000명이었다. 2013년 1월 431만 6000명 이후 1월 기준 12년 만에 가장 작은 수치다. 지난해 1월에 비해 5만 6000명이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6년 1월 467만 3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하향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는 7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마이너스다.
특히 건설업의 역대급 불황이 취업자 감소폭을 키웠다.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는 192만 1000명으로 2017년 1월(188만 9000명) 이후 8년 만에 가장 작은 수치로 떨어졌다. 지난해 1월에 비해 16만 9000명 줄었다.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임시직이나 중소기업 취업자들이 ‘질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려는 수요는 계속 생기고 있지만 취업시장 문이 좁아져 체감실업률이 높아지는 것”이라며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고 경기를 부양해 청년 고용시장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이주원 기자
2025-02-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