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은 이제 영화에서만이 아니라 일상에서도 흔하게 겪는 일이 됐다. 특히 지난해 카카오톡 먹통 사태, 2021년 KT 인터넷 장애 사태처럼 현대 사회에서는 전력 공급망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재난이 당장의 일상을 위협한다.
국립현대무용단이 23~25일 서울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선보이는 ‘캐스케이드 패시지’(Cascade Passage)는 그런 재난을 다룬 이야기다. 2003년 8월 미국에서 많은 사상자를 낳은 대규모 정전 사태를 주제로 삼았다. 관객들은 관광 명소로 변신한 극장 안에서 다크투어(비극적인 역사 현장을 여행하는 일)를 하게 된다. 2인조 프로젝트 그룹 ‘’(Mu:p)의 멤버이자 부부인 조형준(39)과 손민선(37)이 만들었다.
지난 16일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조형준은 “연쇄적으로 정전이 번지는 상태인 캐스케이드, 통로라는 뜻의 패시지로 합성어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용어는 어렵지만 놀이동산에서 꾸며 놓은 공간을 탐험하는 것을 생각하면 쉽다. 그 공간이 ‘캐스케이드 패시지’에서는 재난 현장으로 설정됐고 관객들은 저마다 원하는 팀을 골라 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여행을 하게 된다.
정전 현장을 주제로 잡은 것은 극장이 무대 전환을 위해 자주 암전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조형준은 “극장은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공간이기도 하고, 정전이 됐을 때 어색하지 않은 공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다크투어의 취지가 비극적 현장을 돌아봄으로써 교훈을 얻게 하는 것임을 생각하면 극장은 정전에 대한 경험으로 지금을 돌아보게 하는 최적의 장소인 셈이다. 손민선은 “다크투어는 무거운 현장을 관광함으로써 그곳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재난이 일어났지만 일상이 지속되는 모습을 통해 또 다른 시각을 만들어 준다. 앞으로의 희망과 미래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게 작품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캐스케이드 패시지’는 각 극장이 가진 물리적 조건에 맞춰 설계한 공간에서 다크투어를 하는 ‘극장 특정형 공연’이다. 건축을 전공한 손민선, 무용수 출신의 조형준이 머리를 맞댔기에 공간을 십분 활용한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 극장에 따라 투어 형태가 달라지는데 이번에는 자유소극장의 공간 특성을 이용해 무대가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 쉴 새 없이 움직이도록 설계됐다. 몰입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 객석 4~8열은 비웠다.
은 ‘폼’(form)을 뒤집은 형태로, 춤출 때 폼 잡는 게 싫었던 조형준이 글자를 뒤집어 보면서 탄생했다. 그래서 이들은 뻔한 경험이 아니라 다양하고 새로운 시선으로 신선한 경험을 선사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번 공연 역시 관객마다 다양한 경험을 얻어 갈 수 있게 서사를 풍부하게 준비했다. 손민선은 “공연에는 관객이 예상하지 못하는 지점이 있어야 한다. 미끼를 많이 심어 놨으니 잘 얻어걸리는 것이 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