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예술극장 무대 오른 ‘만선’
탐욕으로 비극 치닫는 인물 그려
객석 쪽 내리막 경사로 긴장감도
폭풍우 장면에선 물줄기 쏟아져
“대체 누구를 위한 만선이여! 만선이 뭣이여!”
만선으로 돌아오는 일만이 최선인 줄 알았다. 세상은 숱하게 거절할지라도 바다만은 같은 편일 줄 알았다. 그렇게 철석같이 믿고 달려들어 마주한 것은 결국 죽음과 파멸. 희망을 가로채는 건 자연인가 싶지만 인간의 삶을 비극으로 몰아넣는 건 결국 탐욕이 그득한 또 다른 인간들이다.
한국 근대 명작 희곡 중 하나인 천승세 원작의 ‘만선’이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올랐다. 오는 9일까지 선보이는 이번 ‘만선’은 2021년 선보인 국립극단 창단 70주년 버전으로 윤미현이 윤색하고 심재찬이 연출했다.
저마다 그것 하나면 삶의 여러 문제가 다 해결될 것 같은 존재가 있다. 오늘날 많은 이에게 로또 같은 존재, 주인공 곰치에게는 만선이 그렇다. 평생을 바다 사나이로 살며 “만선에 미친 놈” 소리를 듣는 곰치는 “허벅다리 같은 부서(보구치)”를 팔아 빚도 갚고 자기 배를 장만할 수 있으리란 꿈에 부푼다.
금방 자기 세상이 펼쳐질 것 같았던 곰치는 그러나 선주 임재순이 밀린 빚을 빌미로 부서를 모두 거둬 가고, 바다로 못 나가게 느닷없이 배까지 묶어 버리면서 암초를 만난다. 밀려오는 부서 떼에 대책 없이 마음이 흔들리는 곰치는 만선의 꿈을 버리지 못해 임재순과 무리한 계약을 하게 된다. 심상치 않은 날씨에도 쌍돛대를 달고 전속력으로 바다로 나가지만 곰치만 혼자 겨우 살아 돌아온다. 이미 아들을 셋이나 바다에 잃고도 아들 도삼이 또 실종돼 실성한 곰치의 처 구포댁, 결혼을 약속한 연철을 잃은 곰치의 딸 슬슬이까지 이 가족에겐 불행한 일들이 파도처럼 덮친다.
풍요로운 제목과 달리 ‘만선’에는 비극만 가득 실려 있다. 한국 사실주의 연극의 대표작답게 당대 사람들의 녹록지 않았던 현실이 고스란히 담겼다. 더는 물러설 곳 없는 땅끝에서 바다를 터전 삼아 살아가는 이들에게 발붙일 틈을 조금도 허락하지 않는 서글픈 세계를 그렸다.
“희곡의 행간을 섬세하게 들여다보며 현대와 만나는 지점을 많이 찾아내고자 했다”는 심 연출의 말대로 1964년 쓴 작품이긴 하지만 오늘날의 관객에게도 아주 멀게만 다가오지 않는다. 심 연출은 젊은이들의 비극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제 그 나이에 맞게 배역을 가져가는 한편 윤색 과정에서 지금 시대와 만날 수 있게 대사를 새로 추가했다.
객석 쪽으로 내리막 경사를 만들어 어부들의 위태로운 현실을 드러낸 무대는 단순하지만 의미가 뚜렷하다. 백미로 꼽히는 폭풍우가 몰아치는 장면은 실제로 쏟아지는 물줄기가 관객들에게 잠시나마 사연 많은 어촌 마을의 음울한 공기를 느끼게 한다. 특유의 거친 정서가 짙게 밴 전라도 사투리와 밀도 높은 서사 속에 배우들이 각자의 색깔로 물들인 인물의 삶을 분명하게 펼쳐 보이면서 ‘만선’은 연극이 아니라 아는 누군가의 절절한 이야기처럼 몰입하게 한다.
류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