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총연합, 인천 일대 기독교 근대 문화유산 탐방
20대 청년 아펜젤러·언더우드
1885년 개신교 선교사 첫걸음
무료 의료·여성 교육 흔적 남아
여운형·안창호 독립운동 기여
“교회, 사회 섬기기 앞장서야”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요한복음 12장 24절)
지금으로부터 138년 전인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오후 3시. 인천 제물포 앞바다로 작은 증기선 한 척이 들어왔다. 이 배에는 고종의 정식 허가를 받고 선교 활동을 펼친 최초의 선교사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1858~1902)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1859~1916)가 타고 있었다. 이들이 도착해 “어둠 속에서 억압받는 조선 백성들에게 밝은 빛과 자유를 허락하여 주옵소서”라고 기도했던 이날은 한국에 기독교가 공식적으로 전래된 날이다.
20대 청년들은 대체 어떤 비전을 품고 낯선 땅에 들어왔을까. 오는 9일 부활절을 앞두고 한국교회총연합이 지난 3~4일 인천과 강화도에서 진행한 ‘기독교 근대 문화유산 탐방’에선 낯선 땅에 찾아온 선교사들이 뿌린 씨앗이 어떻게 열매를 맺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혼돈과 불안에 빠진 조선을 찾아온 선교사들은 교회와 학교, 병원, 복지시설 등을 세우며 복음을 전했고 나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아펜젤러 부부와 언더우드의 도착을 기념해 1986년 세운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탑’에는 이들의 동상도 함께 있다. 세 사람인 것 같지만 네 사람이다. 배 속에 있던 아펜젤러의 딸이 바로 평생을 한국 여성들의 교육을 위해 헌신한 앨리스 리베카 아펜젤러(1885~1950)다.
지난 3일 찾은 한국 최초의 성공회 교회인 인천 내동교회 마당에는 벚꽃과 목련꽃이 환하게 피어 봄을 채색하고 있었다. 원래 성누가병원이었던 이곳에는 엘리 바 랜디스(1865~1898) 박사가 생을 다해 복음의 꽃을 피운 역사가 숨어 있다. 허인철 총신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병원을 무료로 운영해 멀리서도 찾아와 1년에 4000명 정도 치료했다”면서 “랜디스 박사가 진료도 하고 영어도 가르치고 고아원도 돌보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까지 연구하다 이른 나이에 과로로 숨졌다”고 설명했다.
선교사들은 여성 교육에도 정성을 쏟았다. 한국의 첫 감리교회인 인천 내리교회는 1895년 최초의 서양식 초등학교인 영화학교를 만든다. 조선 여성들이 교육을 못 받는 현실을 안타깝게 여긴 마거릿 벵겔(1867~1919)이 세운 학교다. 강화기독교역사기념사업회 최훈철 이사장은 “교회에서 교육받은 여인들은 뻔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교회를 통해 진취적으로 살게 된 여성들의 이야기를 전했다.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와 학교는 여운형, 안창호, 조봉암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는 산실 역할도 했다. 비록 그들의 모국은 이 땅에서 욕망의 대결을 펼쳤지만 선교사들은 한국을 위해 마음을 다해 섬겼다. 인구 7만명이 채 안 되는 강화도에 교회가 210개나 있다는 사실은 개화기 이곳에 뿌린 씨앗이 오늘날에도 포도알처럼 주렁주렁 맺혀 있음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한교총 대표회장 이영훈 목사는 “선교사님들이 정말 한국을 사랑하고 섬겼다”면서 “오늘날에는 그러한 선한 영향력이 많이 감퇴했는데 환골탈태하는 모습으로 반성하고 한국교회 전체가 우리 사회를 섬기는 일에 앞장서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공동대표회장 권순웅 목사도 “선교사들의 정신을 본받아 교회가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할 것을 되새기고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류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