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주식 리딩방 접촉해보니
“25% 벌었어요” 유혹에 솔깃… “투자 늘려라” 주가 띄우기 수법도
“1000만원이 나흘 만에 3배 넘게 불어나니 눈이 뒤집히더군요. 그게 악몽의 시작이었습니다.”
금융당국이 리딩(leading)방과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투자 자문을 빙자한 사기는 여전히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다. 리딩방은 개인 투자자가 일정 금액을 내면 실시간 문자 등을 통해 매수·매도 종목을 알려 주는 주식 투자방을 뜻한다. 일확천금 꼬드김에 넘어갔다가는 투자금을 잃는 것은 물론 시세조종 공범으로 몰릴 수 있다.
●7000만원 잃은 피해자의 피눈물
서울신문은 리딩방 일당에게 투자금 7000만원을 뜯긴 직장인 박모(46)씨를 24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시작은 클릭 한 번이었다. 지난 9월 투자를 도와주겠다는 문자메시지를 읽고 인터넷 주소를 따라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 들어갔다. 이후 운영자의 지시대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설치하고 1000만원을 투자했다.
●거래시스템도, 투자 고수도 가짜
그게 가짜 MTS라는 사실을 박씨는 몰랐다. 가짜 MTS에서 박씨의 1000만원은 나흘 뒤 4000만원이 돼 있었다. 물론 사기였다. 박씨가 수익 일부를 인출하려 하자 운영자가 막았다. 박씨에 따르면 운영자는 “3억원까지 벌게 해 줄 테니 좀 기다리라”고 했다. 박씨는 지난달까지 총 7000만원을 투자했다. 그는 “자꾸 입금을 재촉하고 MTS 지수와 실제 지수가 안 맞는 게 이상해 운영자에게 따졌더니 단체 대화방에서 저를 내쫓고 차단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리딩방 피해 민원 건수는 2018년 905건에서 지난해 3070건으로 4년 만에 3배 넘게 늘었다. 박씨처럼 눈 뜨고 당하는 리딩방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유규상 기자가 리딩방 3곳과 접촉했다.
최소 24~30% 수익을 보장합니다. 믿고 따라오세요.”
리딩방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유튜브 검색창에 주식과 관련된 몇몇 키워드를 입력하자 리딩방 관계자의 전화번호가 포함된 영상이 쏟아졌다. 해당 번호로 문자를 보내니 리딩방 쪽에서 연락이 왔다. A리딩방이 처음으로 주식 매매를 지시한 것은 지난달 29일이었다. 운영자는 그날 오전 8시 50분쯤 종목 3개를 추천했다. 지시대로 그중 하나를 샀다. 하지만 주가는 하락했다. 손해를 봤다고 항의하자 운영자는 매수·매도 시점을 놓친 기자의 잘못이라고 했다. 며칠 후 그는 기자에게 “고급 정보가 있다. 믿고 500만원을 투자하라”고 말했다. 거절하자 운영자와의 연락은 두절됐다. 기자를 차단한 듯했다.
지난 4일 이후 만난 B리딩방 운영자의 지시는 더 구체적이었다. 경제부 기자가 듣기에도 해박한 지식을 자랑하며 자신을 믿고 따라오라고 했다. 개장 직전 그는 특정 종목 3개를 추천하고 시간까지 일러 주며 단타 매매를 지시했다. 첫날 50만원을 투자해 6만 900원의 이익을 봤다. 수익을 보자 살짝 솔깃하기도 했지만 이후 기자는 직접 투자는 자제하고 차트만 확인했다. 운영자는 테마주, 코스닥 상장 종목 위주로 추천했다. 운영자는 기자에게 투자 액수를 늘려야 돈을 번다고 충고했다. 그렇게 2주가 지나자 무료 체험이 끝났다며 “6개월에 200만원 또는 1년에 300만원을 내야 ‘리딩’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초반에 약간의 이익을 보게 해 신뢰를 쌓은 뒤 유료 회원을 모아 돈을 뜯어내는 형태였다.
C리딩방은 우연히 받은 문자메시지 링크를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운영자는 ‘김○○ 분석가’였다. 이름을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전직 증권사 임원이 떴다. 해당 증권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사칭이었다. 단체 대화방에는 180명이 넘게 있었는데 그중 바람잡이가 여럿 있었다. 운영자가 주식을 추천하면 대화방 여기저기서 “덕분에 25% 벌었습니다”, “개인 투자자에게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등 환호와 찬사가 쏟아졌다. 흡사 사이비 교주와 같았던 C리딩방 운영자 역시 기자에게 투자 액수를 늘리라고 했다.
리딩방 운영자들은 하나같이 기자에게 투자 규모를 키울 것을 종용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는 전형적인 주가 띄우기 수법이다. 리딩방 일당이 미리 특정 종목을 사 둔 뒤 투자자들에게 매수를 추천해 가격을 올려 차익을 남기는 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리딩방에 들어가는 순간 사기꾼들의 손쉬운 먹잇감이 된다. 거액의 투자 손실 위험은 물론 자기도 모르게 시세 조종에 연루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유규상·강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