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고재서 이상욱·김세은·유리 조명
한때 치열하게 작업했던, 그러나 작고 후 제대로 된 전시가 열리지 못한 채 잊혀지는 작가들이 많다.
겹겹의 붓자국으로 이야기를 전하는 ‘서정의 추상’, 추사의 획에서 영감받은 ‘서체의 추상’을 구가해 온 이상욱(1923~1988)이 대표적이다. 추상 1세대인 1910년생 김환기·유영국, 1930년 전후에 태어난 단색화 화가들 사이의 ‘낀 세대’로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던 그의 대표작 48점을 학고재가 재조명했다. 1997년 일민미술관 회고전 이후 20여년 만에 한국 추상에 또 다른 뿌리를 냈던 작가의 작품을 한 점 한 점 되짚어 볼 기회다.
화폭을 자유롭게 오가는 간결한 획, 여러 번 붓질해 도드라지는 물감의 질감, 강박적으로 채우는 대신 여백에 자리를 내주는 여유 등은 화폭에서 풍부한 정서와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이유다.
정연심 홍익대 예술학과 교수는 “이상욱은 표면의 마티에르(물감 등으로 나타난 재질감)와 흔적을 남기는 독특한 방식으로 서정적인 추상에 도달한다. 겹겹이 쌓인 물감의 묵직한 표면은 그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만큼 두텁게 처리됐다”고 짚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발전한 서체 추상에서는 거침없이 내려 그은 붓질로 옹골지게 응축된 힘과 생동감을 부각시킨다. “추사가 내 선생”이라고 말해 온 작가인 만큼 추사의 서체와 정서, 사상 등을 연구해 온 결과물이 작품에 투영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학고재 신관에서는 신진 작가이지만 독창적인 화풍을 일구며 주목받고 있는 김세은(34), 유리(29)의 ‘젊은 추상’ 49점이 존재감을 발휘한다.
근경과 원경을 하나로 합치고, 시시각각 바뀌는 도시 풍경을 허물고 쌓고 다시 허물고 쌓으며 새로운 풍경을 추상으로 빚어내는 김세은의 작품은 감각적 색채와 기발한 이미지 구성이 돋보인다. “나의 미술은 언어로 채울 수 없는 언어를 다룬다”는 유리는 기존의 언어로 규정할 수 없는 사물과 세계를 회화로 펼치며 호기심을 자아낸다. 작품이 곧 그림으로 지어내는 한 편의 시인 셈이다. 29일까지.
정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