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대학 10곳 중 7곳 등록금 인상
학생들, 수업 거부 방식 벗어나
교육 여건 개선 등 현실적 대안
장기적 정부 재정 확대 촉구도
이미지 확대

올해 학부 등록금을 3.1% 올린 이화여대는 지난 21일 총학생회와 ‘예산 편성 협의체’를 시작했다. 등록금 인상으로 늘어난 수입 약 30억원을 어떻게 쓸지 논의하기 위해서다. 등록금 인상에 반대했던 총학생회는 “등록금 인상이 끝이 아니다. 학생 요구 반영을 위한 지속적인 목소리가 필요하다”며 설문조사로 학생 의견을 모아 학교에 전달했다. 송수진 이화여대 부총학생회장은 “주로 장학금 지급과 시설 개선, 교원 채용 등에 사용해달라는 요청이 많았다”며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계속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 전국 대학 190곳 중 131개교(68.9%)가 개강을 앞두고 학부 등록금을 올린 가운데 학생들이 인상분 사용을 감시하고 정부 재정 확충을 촉구하는 등 투쟁 방향을 돌리고 있다. 현실적으로 등록금 인상 기조를 꺾기 어려운 만큼 수업 거부 같은 예전의 ‘개나리 투쟁’ 대신 ‘제대로 쓰는지 보겠다’며 교육 여건 개선에 목소리를 내는 게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대학가에 따르면 올해 등록금이 인상된 연세대·이화여대 등 각 대학 학생회는 최근 학교 측과 인상분을 어떻게 사용할지 협의 중이다. 등록금이 4.98% 상승한 연세대도 총학생회와 학교가 사용처를 두고 머리를 맞댔다. 최근 연세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소셜미디어(SNS)에 “교비 장학금 약 73억원, 신입 전임교원 확충 약 25억원 등을 편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투쟁 방법이 바뀐 건 우선 등록금 인상을 번복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서다. 등록금심의위원회(등심위)에서 학생 위원은 소수이다 보니 학교 측 인상안으로 의결되는 경우가 많다. 일단 인상이 결정되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건 예산과 지출 감시다. 장기간 대학 등록금이 동결된 것도 한 원인이다.
올해 등록금 동결을 위해 단식투쟁까지 했던 원광대 총학생회 측은 “인상 영향을 최소화하며 학생 복지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일부 대학이 등심위 과정에서 “인상분을 교육 환경 개선에 투입하겠다”고 약속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학 단체들은 장기적인 고등교육 재정 확대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대학 재정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문제를 개선하지 않으면 논란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김지예 기자
2025-02-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올 대학 10곳 중 7곳 등록금 인상
학생들, 수업 거부 방식 벗어나
교육 여건 개선 등 현실적 대안
장기적 정부 재정 확대 촉구도
이미지 확대

올해 학부 등록금을 3.1% 올린 이화여대는 지난 21일 총학생회와 ‘예산 편성 협의체’를 시작했다. 등록금 인상으로 늘어난 수입 약 30억원을 어떻게 쓸지 논의하기 위해서다. 등록금 인상에 반대했던 총학생회는 “등록금 인상이 끝이 아니다. 학생 요구 반영을 위한 지속적인 목소리가 필요하다”며 설문조사로 학생 의견을 모아 학교에 전달했다. 송수진 이화여대 부총학생회장은 “주로 장학금 지급과 시설 개선, 교원 채용 등에 사용해달라는 요청이 많았다”며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계속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 전국 대학 190곳 중 131개교(68.9%)가 개강을 앞두고 학부 등록금을 올린 가운데 학생들이 인상분 사용을 감시하고 정부 재정 확충을 촉구하는 등 투쟁 방향을 돌리고 있다. 현실적으로 등록금 인상 기조를 꺾기 어려운 만큼 수업 거부 같은 예전의 ‘개나리 투쟁’ 대신 ‘제대로 쓰는지 보겠다’며 교육 여건 개선에 목소리를 내는 게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대학가에 따르면 올해 등록금이 인상된 연세대·이화여대 등 각 대학 학생회는 최근 학교 측과 인상분을 어떻게 사용할지 협의 중이다. 등록금이 4.98% 상승한 연세대도 총학생회와 학교가 사용처를 두고 머리를 맞댔다. 최근 연세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소셜미디어(SNS)에 “교비 장학금 약 73억원, 신입 전임교원 확충 약 25억원 등을 편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투쟁 방법이 바뀐 건 우선 등록금 인상을 번복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서다. 등록금심의위원회(등심위)에서 학생 위원은 소수이다 보니 학교 측 인상안으로 의결되는 경우가 많다. 일단 인상이 결정되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건 예산과 지출 감시다. 장기간 대학 등록금이 동결된 것도 한 원인이다.
올해 등록금 동결을 위해 단식투쟁까지 했던 원광대 총학생회 측은 “인상 영향을 최소화하며 학생 복지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일부 대학이 등심위 과정에서 “인상분을 교육 환경 개선에 투입하겠다”고 약속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대학 단체들은 장기적인 고등교육 재정 확대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대학 재정을 등록금에 의존하는 문제를 개선하지 않으면 논란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김지예 기자
2025-02-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