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 21일 선종하면서 그의 삶을 담은 영화와 자서전에 이목이 다시금 쏠린다. 가톨릭교회 2000년 사상 첫 남미 출신이자 1282년 만의 비유럽권 교황, 평생 가난한 이들과 어울리며 복음을 실천한 교황의 인간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넷플릭스 영화 ‘두 교황’(2019)은 자진 퇴위로 세계를 놀라게 한 베네딕토 16세와 그의 뒤를 잇게 된 프란치스코 교황의 만남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베네딕토 16세와 프란치스코 교황을 명배우 앤서니 홉킨스와 조너선 프라이스가 각각 연기했다. 영화 속에서 프란치스코 당시 추기경은 가톨릭 사제들의 아동 성 학대 사건에 관해 모르는 체했던 베네딕토 16세를 거침없이 비판한다. 그러면서도 젊은 시절 자신이 아르헨티나 군사 독재를 막지 못했다며 고해성사하기도 한다. 또 탱고와 축구를 사랑하는 이유 등 인간적인 면모도 드러낸다.
다음달 초 새 교황을 선발하는 ‘콘클라베’가 열린다.
콘클라베의 비밀스러운 과정은 지난달 개봉한 동명 영화에 자세하게 나온다. 영화는 선거를 총괄하는 추기경 로런스(레이프 파인스)의 시선으로 사흘 동안 여섯 번에 걸쳐 진행되는 투표를 촘촘히 따라간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된 지난 콘클라베는 2013년 3월 12일부터 이틀에 걸쳐 진행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혜성처럼 등장해 5차례 투표 끝에 선출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삶은 자서전을 통해 자세하게 접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출간된 자서전은 ‘나의 인생’(윌북)과 ‘희망’(가톨릭출판사) 두 권으로, 지난달 출간됐다. 두 책 모두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필에 참여한 공식 자서전이다. 책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80여년 동안 겪었던 역사적 사건과 세월의 굴곡을 통해 자신의 삶을 풀어낸다. 이탈리아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조상들 이야기, 부모 세대가 겪은 전쟁의 참혹함을 비롯해 유년기의 경험, 젊은 시절의 고민, 사제 생활을 하면서 겪었던 일들, 그 과정에서 자기의 고민과 내면의 모습을 솔직담백하게 털어놓는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점점 더 판단하기 어려워지는 혼탁한 사회에서 그가 삶에서 가장 귀하게 여겼던 가치인 ‘희망’을 잃지 말라고 힘을 주는 내용이 책 곳곳에 녹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