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은 ‘청년정치인의 해’라고 불릴 만큼 2030 세대의 정치권 활동이 두드러졌다. 지난 6·1 지방선거에서도 청년정치인의 당선 비율이 2018년 제7회 전국동시 지방선거보다 높았고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도 젊은 세대들의 정치적 발언이 이어졌다.
쿠키뉴스는 2022년 마지막 주 정치권을 향해 쓴소리를 내고 있는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혁신을 위해 활발히 활동 중인 김재섭 국민의힘 도봉구갑 당협위원장을 각각 만나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 물었다. 박 전 비대위원장과 김 위원장은 서로 다른 당 소속이지만 ‘정치권이 변해야 한다’는 목표만은 같았다.
근황과 자기소개를 한다면
박 전 비대위원장은 매주 토요일 ‘반전 정치학교’를 다니고 있고 최근에는 ‘이상한 나라의 박지현’이라는 책을 발간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지에서 ‘떠오르는 인물 100인’, BBC에서 ‘올해의 여성 100인’, 블룸버그통신에서는 ‘올해의 50인’ 등에 선정되기도 했다.
박 전 비대위원장은 “정치권에 들어서니 제가 지방 출신·여성·20대 청년이라는, 기성세대와는 전혀 다른 정체성 때문에 온갖 차별과 혐오를 받았다”며 “그럼에도 여성 인권이 후퇴하지 않도록 노력을 봐 주신 분들도 계셔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도봉구갑 당협위원장으로 활동하는 김 위원장은 지난해까지 당 비상대책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헬스부장관’으로 불리는 그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체육 정책 등을 반영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김 위원장은 “국민 건강은 우리 정치권이 꼭 챙겨야 하는 의제 중 하나다. 젊은 세대로서 이를 정치권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갖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 발을 들이게 된 계기는
박 전 비대위원장은 ‘추적단 불꽃’ 활동을 하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을 보호하고 싶은 마음에 정치에 입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왜 정치를 하는지, 정치란 무엇인지 고민하는 중”이라며 “매일 더 좋은 답을 찾으려고 스스로 묻고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정치권에 답답한 마음을 느껴 입문하게 됐다고 했다.
그는 “축구 경기를 보다 보면 ‘내가 공을 차도 저것보다 잘하겠다’는 마음이 들 때가 있다”며 “제가 다니던 대학원에서 친구들과 같이 젊은 목소리를 내는 그룹을 조직했는데 이것이 미래통합당에 흡수됐고 그 가운데서 출마 권유를 받아 물 흐르듯 입문했다”고 이야기를 풀었다.
기성정치에 품던 불만은
이들은 모두 기성정치가 현안을 풀어나가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박 전 비대위원장은 “‘언젠가 다른 국회의원들처럼 공천에 목메는 정치인이 되지 않을까 하는 두려운 마음이 있다’는 내용이 제 책에 있다”며 “586 사고로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 수 없어 이를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전 비대위원장은 중요한 것은 누가 집권하느냐가 아닌 어떤 정치를 하는지의 여부라고 강조했다. ‘생물학적 586세대’가 모두 나가야 한다는 뜻은 아니라고 했다.
그는 “당 운영을 주도하는 게 아닌 후배 정치인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멘토로서 도와주라는 것”이라며 “‘586 용퇴론’은 그 세대가 갖는 문제규정의 기준, 해결방식의 수단, 세상을 이해하는 인식 틀이 더는 현실에 맞지 않다는 것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정치권 입문 당시 갖던 불만과 지금의 불만의 결이 조금은 다르다고 했다.
그는 “초반에는 연금, 노동 이슈 등에 대해 기성정치인들이 표를 인식하며 개혁하지 않은 것을 두고 젊은 세대가 정치권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현재도 그 불만은 남아있다면서도 “지금은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가 살아온 배경이 달라 어떠한 게 중요한 정치적 이슈인지 감지하는 능력이 다르다는 걸 깨달았다”고 말했다.
보건정책의 경우 “2021년 초 방역을 한다고 헬스장 문을 몇 주간 강제로 닫은 적이 있다”며 “어르신들은 ‘그럴 수 있지’라고 하셨지만 그 정도로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다”고 일화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2030은 건강·보건·환경 문제에 대해 더 정치적으로 예민하게 반응한다”며 “이러한 문화적 공감대를 기성 정치권이 감지할 수 없다는 불만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이태원 참사 등 현안에 대한 정치권의 대응은
박 전 비대위원장과 김 위원장은 이태원 참사 등 우리 사회가 겪은 큰 문제에 대한 정치권의 대응이 부실했다고 평가했다.
박 전 비대위원장은 “세월호 참사를 겪던 세대가 다시 이태원 참사를 겪었다. 많은 청년이 ‘내가 희생자였어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참사’라고 공감했다”며 “청년은 이제 일상을 살아갈 안전도 보장받지 못하는 한국사회를 살아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를 책임질 생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로지 정쟁으로 돌려 책임을 피하기 위한 여당과 정부의 모습에 치가 떨린다”며 “국정조사가 얼마 남지 않았고 참사가 발생한 지 벌써 60일이 지났는데 밝혀진 게 없다. 국민의 생명을 지키지 못하는 정권을 우리 국민이 결국 심판하실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도 기성세대와 청년 사이 갈등의 핵심적인 문제라고 보는 게 바로 이태원 참사라고 심경을 표했다.
그는 “핼러윈이라고 하는 게 저희 세대에겐 너무 익숙한 문화고 이미 우리나라에 정착된 지 몇 년 됐는데 거기에 대한 감수성이나 인식이 굉장히 안일했다”고 힐난했다.
이어 “대부분 정치권 인사들이 ‘모이면 얼마나 모여’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며 “애초에 우리 세대가 공감하고 있는 게 당연하지 않다고 느끼는 순간 그들은 정치적으로 이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청년 정치에 대한 생각은
박 전 비대위원장은 청년 정치로서 정당의 미래를 다룰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기성정치는 청년정치인들에게 ‘가만히 있어라, 건방지다’는 등 가스라이팅하기 바빴다”며 “그러니 도전적이고 개혁적인 이야기를 할 문화가 만들어질 리 만무했다”고 비판했다.
청년 정치는 이러한 문제를 타파할 수 있다며 “이는 낡은 정치를 바꾸고 새로운 사회 아젠다를 다루는 정치다. 정당의 미래 비전과 진보 의제를 다뤄 지지기반을 넓히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해나가는 정치라고도 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김 위원장은 기성·청년 세대가 문제를 인식하는 방법이 다르다며 청년만의 새로운 시각을 강조했다.
이어 “기성세대가 못하는 게 있고 젊은 정치인들이 할 수 있는 게 있다. 이게 청년 정치”라고 덧붙였다.
앞으로의 계획은
박 전 비대위원장은 미래에 또래 청년정치인들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고 바랐다.
그는 “제가 10년 안에 전당대회에 도전한다고 얘기한 적이 있다. 그건 당대표에 도전하는 청년이 저 혼자임을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그렇게 되려면 청년들이 정치권에 우후죽순 들어가야 한다. 청년정치인들이 주체적인 정치인들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원내에 들어가 직접 입법 활동을 벌이는 것을 목표로 뒀다.
그는 “제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도봉구 현안에 관심 두는 게 1순위다. 주민을 잘 만나 뵐 것”이라며 “전문분야로서는 제가 관심을 두고 있는 보건, 생활체육 정책 등과 관련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년정치인들에게 ‘정치’란
박 전 비대위원장은 “계속 답을 찾아 나가는 과정이라고 봐야 한다”며 “오답이 나오더라도 왜 하는지 생각하면서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고 했다.
또 “이기는 정치가 아닌 한 사람만을 위한 정치를 하고 싶다. 한 사람에게 가해지는 차별과 어려움을 곧 모두에게 가해지는 차별과 어려움이라고 생각한다”며 “나쁜 일로부터 사람들을 지키는 일도 포함하는 것도 급선무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앞에 무슨 괄호를 넣든 ‘기회’인 것 같다”며 “내가 틀리다고 한 무언가를 바로잡을 기회, 도봉구 주민에게 봉사할 기회 등”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리하자면 대한민국을 더 옳게 할 ‘어떠한’ 기회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다. 대한민국이라는 큰 배를 움직일 수 있는 건 제 역량으로 부족한 일들이 있는데 정치로서 가능하게 할 수 있다”며 “제 역할이 주어지는 한 계속 정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소현 기자 [email protected]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