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김인병 응급의학회 이사장
추석 연휴 별일 없이 지나길 바랄 뿐
응급실 근무조당 의사 1명 ‘역부족’
군의관·공보의 투입은 임시방편
뺑뺑이 ‘병원 간 전원’ 시스템 문제
정부, 의료계에 먼저 손 내밀어야
전공의·의대생 없이 6개월 못 버텨
다시 한번 복귀 여건 만들어 줘야
2025학년 의대 증원 재논의 필요
“응급실을 비롯한 현재 의료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수를 써서라도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돌아오게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김인병(57)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은 5일 경기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정부 발표에 드러나지 않는 현장의 절박한 어려움이 있다”며 “(보건복지부에선) 응급실 내원 환자가 줄어든다고 하지만 중증환자는 그대로다. 의료진의 육체·정신적 스트레스와 피로도는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정부가 의료를 ‘개혁’이 아닌 ‘개선’ 측면에서 접근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지금이라도 정부가 의료계를 대화 테이블로 끌어올 수 있도록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 북서부권을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명지병원)에서 근무하는 그의 휴대전화는 인터뷰 중에도 쉴 새 없이 울렸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김인병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은 5일 경기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서울신문과 만나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을 “병원 간 전원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탓”이라고 진단했다.
-응급실 위기는 어느 정도인가.
“이미 최악이고, 지속될 일만 남았다. 우리 병원(응급실)은 하루에 환자가 80~100명이 오는 권역응급의료센터지만 한 듀티(근무조)당 의사가 1명이다. 환자가 몰리는 특정 시간에 전문의 1명이 충원되긴 하지만 역부족이다. 전공의 이탈 전에는 한 듀티당 의사 4~5명(전문의 2명+전공의 2~3명)이었다.”
-추석을 버틸 수 있을까.
“저도 가족이나 지인들에게 ‘이번 추석에 다치면 안 된다’고 말한다. 드러나고 있진 않지만 인명 피해는 지금도 생기고 있다. 정부는 군의관·공보의 투입한다지만 임시방편이다. 팀으로 운영되는 응급실 시스템에서 한두 명 충원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저를 비롯한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은 환자 곁을 지키며 명절을 보낼 것이다. 별일 없이 지나가길 바랄 뿐이다.”
-정부는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하는데.
“통계상 환자가 줄고 있으니 일이 줄었을 거라 생각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중요한 건 업무 강도가 높은 중증환자들이다. 응급실 내원 환자 중 후속 치료가 필요해 입원하는 환자가 30%나 된다. 정부는 중증환자가 15~20% 미만이라지만, 전국 평균치이다. 대학병원의 중증환자 비율은 이보다 높은 곳이 많다.”
-최근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집단 사직하는 원인은.
“응급의학과 근무 특성상 한 명 (사직이) 나오면 줄줄이 나올 수밖에 없다. 365일 24시간 당직 체계로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보니 한두 명이 이탈하게 되면 남은 사람들이 ‘로딩’(과부화)을 견디지 못한다. 일부는 ‘응급실 망하게 하려고 하는 거 아니냐’고 하지만 응급실 근무 특성을 모르고 하는 이야기다. 폭력·폭언에 휘말려도 진료 거부를 하지 못하는 현행법 체계의 현실적 문제도 (응급의학 전문의 사직에) 영향을 많이 끼쳤다.”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은 뭔가.
“응급실 뺑뺑이가 아니라 전원(轉院) 시스템의 문제다. 한 병원이 모든 수술을 할 수 있다는 건 판타지다. 응급 의료는 시시각각 변한다. 예를 들어 우리 병원에서도 안과 수술이 됐다가 1시간 뒤에 안 됐다가 2시간 뒤에는 다시 가능할 수 있다. 마취과 교수가 없거나 기기가 고장 났다거나 담당과 교수가 잠시 자리를 비웠다거나 등 변수가 많다. 현재 시스템에서는 이런 변수들을 전부 담을 수가 없어 구급대원들이 일일이 전화로 확인해야만 한다. 그때 병원들이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시점이 겹치면 ‘응급실 미수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2012년에 응급의료 정보센터의 ‘1339’ 상담전화를 폐지한 뒤론 같은 지역·권역의 병원들이 전원 협력을 맺을 환경이 갖춰지지 않고 있다.”
-어쩌다 이런 상황까지 왔을까.
“개선해야 할 문제를 개혁으로 접근해서다.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은 고칠 부분은 있었지만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의료 시스템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는 의사들이다. 저도 정부의 필수의료 패키지 방향성에 대해 공감한다. 세세한 방안은 나중에 치고받고 싸우든 어떤 수를 써서라도 (정부가) 의료계를 불러 함께 논의했어야 한다.”
-해결 방법은.
“어떤 대책을 세워서라도 전공의와 의대생을 돌아오게 해야 한다. 정부가 이들이 돌아올 수 있는 여건이나 명분을 만들어 줘야 한다. (정부는) 6개월만 버티면 끝난다지만, 전혀 아니다. 전공의들이 떠난 6개월도 겨우 버텼는데 남은 6개월을 어떻게 버티나. 이대로 가면 내년에 더 심각해진다.”
-전공의·의대생은 2025학년도 증원을 재논의하지 않으면 복귀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그들이 돌아올 수만 있다면 2025학년도 의대 정원도 재검토해야 한다. 입시 일정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그건 행정적 문제다. 국민 건강권과 입시생들과 학부모의 원성 중 무엇이 더 중요한지 생각해야 한다. 사람이 죽고 사는 문제인데 행정은 언제든 변화가 가능하다.”
-해법의 주체는.
“정부다. 사태가 악화하면 피해는 국민이 보고 결국 정부 책임으로 돌아간다. 정부에서 먼저 손을 내밀어야지 ‘의료계가 단일 안을 가져오면 논의한다’는 건 너무 수동적인 태도다.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 대표성을 가진 집단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의학회 등과 함께 중지를 모아야 한다. 물론 정부가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한다.”
●김인병 이사장은 1967년생. 응급의학과 전문의. 명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이자 의무부원장으로 21년째 응급환자 곁을 지키고 있다. 대한재난의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지난 1월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글·사진 한지은 기자
2024-09-06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