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을 내세운 KDB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두고 노사가 팽팽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과 관련 구체적인 기본방안을 마련하고 속도를 내는 한편 산업은행 노동조합은 결사반대 입장을 고수하며 투쟁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노조는 파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양측의 갈등이 벼랑 끝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은 금융위로부터 ‘산업은행 부산 이전 추진계획(추진계획)’ 자료를 입수하고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로드맵을 공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올해 안에 ▲이전 대상 기능의 범위 ▲용지 확보방안 ▲인력·설비 이전 일정 ▲전산망 구축방안 등을 담은 ‘산업은행 본점 이전’ 기본방안 검토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 중 산업은행 회장 직속 전담 조직으로 ‘부산 이전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고 이 과정에서 직원반발 등 갈등 요인에 대한 해소방안을 마련한다.
내년 초 국토부는 ‘산업은행의 이전 공공기관 지정안’을 균형발전위원회에 상정해 심의·의결한 뒤 같은 해 금융위가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계획(안)’을 상정해 심의·의결을 이루면 국토교통부장관의 최종 승인으로 이전계획이 확정된다.
아울러 계획안에는 정부가 ‘한국산업은행법’을 개정하고 내년 이후 산업은행이 용지매입과 사옥 신축 등을 진행하고 건물 준공에 맞춰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
산업은행 이전 장소 부산국제금융 유력… 임직원 발령 가능성
━
산업은행이 부산에 이전할 장소는 부산국제금융센터(BIFC)가 유력하다. 2009년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이후 부산국제금융센터 문현금융단지에는 기술보증기금·한국은행 부산본부·BNK부산은행 등이 입주했다.
2014년 6월 1단계 사업에는 63층 규모의 BIFC 빌딩이 준공됐고 2018년 11월 2단계 사업에는 49층과 36층 2개 동으로 이뤄진 빌딩이 준공됐다. 현재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등 35개 기관이 입주했고 4500여명이 근무 중이다.
3단계 개발사업에는 2700억원이 투입되며 부지 면적 1만293㎡(3114평)에 지하 5층, 지상 45층, 전체 면적 14만6553㎡ 규모 사무공간을 건립한다. 2025년 하반기 준공이 목표다.
부산시는 3단계 사업 건물을 핀테크·블록체인 등 디지털 융복합 금융업무 공간으로 사용하고 바로 옆에 남겨둔 일반용지(1만6900㎡)를 산업은행 본사 부지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은 노사의 찬반 논란에도 가시화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일각에선 산업은행이 ‘한국산업은행은 본점을 서울특별시에 둔다’는 산업은행법 제4조 1항을 개정하지 않고 본사 임직원을 부산에 발령하는 실질적 이전 방법의 수행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2005년 한국거래소가 본사를 부산에 이전했을 때와 같은 방식이다. 현재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시장감시위원회는 서울에 있고 경영지원본부·파생상품시장본부와 지난해 신설된 청산결제본부는 부산에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경남 창원시 부산신항에서 열린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부산이 세계적인 해양도시, 세계적인 무역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금융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며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을 조속하게 추진해주시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에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이해관계를 잘 조정하고 산업은행의 경쟁력이 훼손되지 않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조해 최대한 신속하게 이전을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