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재 러시아대사관이 한국의 우크라이나 포탄 지원 가능성을 거론하며 견제에 나섰다. 재외공관 업무는 통상 주재국과의 양자관계에 국한되는데, 이처럼 제3국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을 겨냥한 것은 이례적이다. ‘북중러 대 한미일’의 신냉전 구도가 선명해지는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주북 러시아 대사관은 3일 페이스북 계정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정당화하는 글을 올리고 “적을 때려 부수고, 큰소리치던 서방의 기술 장비들을 격파하고 있다”며 전세가 러시아에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대사관은 우크라이나 내부로 파고 들어간 전선 경계가 그려진 지도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전선 시찰 장면을 비롯해 전쟁에 동원된 각종 러시아 무기의 모습을 소개하고 사진마다 설명을 달았다.
특히 전술핵 탑재가 가능한 203㎜ 자주포 ‘2S7 피온’ 사진 설명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제공할 가능성을 경계하는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대사관은 “우리는 우리의 포탄만 사용하지만, 적군은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미국의 예속 국가들의 포탄을 사용한다”며 “남조선 당국은 ‘납입’을 시작할 것이라고 떠벌리고는 한다. 우리는 그들의 행태를 예리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측이 ‘살상 무기 지원 불가’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미국에 포탄을 대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우회 지원하지는 않는지 눈에 불을 켜고 지켜본다는 의미다.
대사관이 북한식 표현으로 올린 번역문은 다음과 같았다.
“세계에서 가장 위력한 자행포 ‘삐온’. 구경 203㎜, 포탄질량 88~133㎏, 사거리 8.4-47.5㎞ 핵전투부를 장착한 포탄을 발사할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에서의 특수군사작전은 현대전이 포병전이라는것을 다시금 확증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나치스트들이 현재 4000~7000문의 포를 리용하고있는 반면에 로씨야는 대략 2만문의 포를 리용하고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포탄만을 사용하지만 적군은 나토와 미국의 예속국가들의 포탄을 사용하고있습니다. 남조선당국은 저들도 납입을 인차 시작할것이라고 자주 떠벌이군합니다. 우리는 그들의 행태를 예리하게 주시하고 있습니다.”
대사관의 페이스북 글은 러시아어 원문과 한글 번역문을 함께 제공하는데 번역문은 자동 번역이 아닌 북한 표현에 정통한 인원이 직접 손본 것으로 추정된다.
대사관은 또 “우리 군대가 러시아제 무기와 탄약만으로 전투하고 있다면 우크라이나군은 미국과 그 추종국들로부터 비행기, 탱크, 포, 수백만 개의 포탄, 수십억 알의 탄약을 납입받는다”며 “50여개 적대국과 단독으로 맞서고 있다”고 주장했다.
독일 등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주력전차 ‘레오파르트 2’ 사진 설명에서는 1941년 소련을 침공한 파시스트 탱크들의 종말이 어땠는지 세상이 다 알고 있다고 했다.
대사관이 북한식 표현으로 올린 번역문은 다음과 같았다.
“나토성원국들은 약 150대의 도이췰란드땅크 ‘레오빠르드(표범)’를 우크라이나에 넘겨주고있습니다. 땅크에는 십자가표식이 새겨져있는데 바로 이 십자가를 달고 1941년 파시스트땅크들이 쏘련을 침공하였습니다. 파시스트도이췰란드의 종말이 어떠했는가는 세상이 다 알고있습니다. 이런 수치스러운 종말은 이번에도 불가피합니다. 80년전처럼 십자가를 단 땅크들은 우크라이나벌판에서 활활 불타게 될것입니다.”
주북 러시아대사관은 또 “우리는 조선(북한)의 전우들과 한 전호(참호)에서 미국식 강요 정책에 얽매이지 않은 새롭고 정의로운 세계 질서를 세우기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다”며 “우리의 위업은 정당하다. 우리는 승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가 북한과 ‘한 전호’에 있다는 표현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동생 김여정이 먼저 쓴 바 있다. 김여정은 지난 1월 담화에서 “우리는 러시아 군대와 인민과 언제나 한 전호에 서 있을 것”이라고 했다.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미국과 나토가 동유럽으로 확장하면서 러시아를 위협했기 때문에 일어났다면서 러시아에 로켓과 미사일 등 무기를 판매하는 등 세계에 몇 없는 ‘러시아 편’을 자처하며 전쟁에 간접적으로 발을 들이고 있다.
한편 주북 러시아대사관은 러시아 전승절이었던 9일 북한에서 참전용사 영정을 들고 행진하는 ‘불멸의 연대’ 행사가 진행됐다는 소식도 전했다.
권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