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남 4.86%, 차·삼남에 3.23%씩
합산 지분율 42.67%로 승계 완료
장남 김동관, 개인 최대주주 올라
승계 논란에 지분 증여 ‘정면돌파’
상속세 2218억… 金, 회장직 유지
이미지 확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 중인 (주)한화 지분을 세 아들에게 증여하고 사실상 경영권 승계를 완료했다. 앞서 발표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됐다는 오해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다.
(주)한화는 31일 김 회장이 보유한 (주)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했다고 공시했다. 증여 후 그룹 지주사 격인 (주)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 회장 11.33%, 김 부회장 9.77%, 김 사장 5.37%, 김 부사장 5.37% 등이다. 세 아들이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가진 점을 고려하면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주)한화 지분율은 42.67%가 됐고, 장남인 김 부회장은 (주)한화의 개인 최대주주가 됐다.한화그룹은 “김 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히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기업 중 역대 최대 규모인 3조 6000억원대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주들로부터 ‘그룹 승계를 위해 주주 돈을 활용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유상증자 계획 발표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그룹 계열사인 한화에너지·한화에너지싱가포르·한화임팩트파트너스가 보유한 한화오션 보통주 지분 7.3%를 1조 3000억원에 인수하면서다.
이 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보유 지분율은 34.7%에서 42.0%로 늘었다. 김 부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화오션까지 이어지는 방산 부문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한화 총수 일가 지배력이 큰 한화임팩트와 한화에너지는 1조 3000억원의 한화오션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
김 회장은 지분 증여 이후에도 한화그룹 회장직을 유지하며 전문적인 경영 노하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지분 증여로 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3월 4~31일 평균 종가 기준) 규모다. 한화그룹은 “이번 지분 증여로 국가적 차세대 핵심 사업에 집중해 기업 가치 제고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범수·신융아 기자
2025-04-0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장남 4.86%, 차·삼남에 3.23%씩
합산 지분율 42.67%로 승계 완료
장남 김동관, 개인 최대주주 올라
승계 논란에 지분 증여 ‘정면돌파’
상속세 2218억… 金, 회장직 유지
이미지 확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 중인 (주)한화 지분을 세 아들에게 증여하고 사실상 경영권 승계를 완료했다. 앞서 발표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됐다는 오해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다.
(주)한화는 31일 김 회장이 보유한 (주)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했다고 공시했다. 증여 후 그룹 지주사 격인 (주)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 회장 11.33%, 김 부회장 9.77%, 김 사장 5.37%, 김 부사장 5.37% 등이다. 세 아들이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가진 점을 고려하면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주)한화 지분율은 42.67%가 됐고, 장남인 김 부회장은 (주)한화의 개인 최대주주가 됐다.한화그룹은 “김 회장은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히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기업 중 역대 최대 규모인 3조 6000억원대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주들로부터 ‘그룹 승계를 위해 주주 돈을 활용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유상증자 계획 발표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그룹 계열사인 한화에너지·한화에너지싱가포르·한화임팩트파트너스가 보유한 한화오션 보통주 지분 7.3%를 1조 3000억원에 인수하면서다.
이 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보유 지분율은 34.7%에서 42.0%로 늘었다. 김 부회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화오션까지 이어지는 방산 부문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더불어 한화 총수 일가 지배력이 큰 한화임팩트와 한화에너지는 1조 3000억원의 한화오션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
김 회장은 지분 증여 이후에도 한화그룹 회장직을 유지하며 전문적인 경영 노하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지분 증여로 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3월 4~31일 평균 종가 기준) 규모다. 한화그룹은 “이번 지분 증여로 국가적 차세대 핵심 사업에 집중해 기업 가치 제고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범수·신융아 기자
2025-04-0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