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투자은행,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 이하까지 낮춰
이미지 확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했다. 탄핵 국면 장기화, 미국발 관세폭탄 등이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 전망이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17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 ‘올해 1분기 및 향후 성장 흐름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은 2월에 나온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에도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5%에서 0.2%로 내렸는데 이번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다시 낮춘 것이다.
성장 부진의 배경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로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확대,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 관세정책으로 향후 성장 경로를 예측하는 데 불확실성이 매우 커 5월에 우리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예고했다.
한은이 5월 예정인 수정 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미리 분기 성장률 중간 집계 상황을 공개한 것은 시장의 충격을 줄이고,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금통위 역시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 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돼 둔화 흐름을 이어 갈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구체적인 성장률 하향폭에 대해 “불확실성이 커서 아직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을 아꼈으나 한은 내부에선 1%대 성장률이 깨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해외 투자은행(IB) 사이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JP모건이 최근 1.2%에서 0.7%로 낮춘 바 있다.
이날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을 종전 3.0%에서 -0.2%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미국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이후 추가 유예에 나서지 않을 경우 감소폭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12조원의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는 우리 경제성장률을 0.1% 포인트 정도만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성장률 제고 효과를 0.2% 포인트로 추정한 바 있다.
박소연·강동용 기자
2025-04-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해외 투자은행,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 이하까지 낮춰
이미지 확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했다. 탄핵 국면 장기화, 미국발 관세폭탄 등이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 전망이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17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 ‘올해 1분기 및 향후 성장 흐름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은 2월에 나온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에도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5%에서 0.2%로 내렸는데 이번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다시 낮춘 것이다.
성장 부진의 배경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로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확대,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 관세정책으로 향후 성장 경로를 예측하는 데 불확실성이 매우 커 5월에 우리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예고했다.
한은이 5월 예정인 수정 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미리 분기 성장률 중간 집계 상황을 공개한 것은 시장의 충격을 줄이고,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금통위 역시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 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돼 둔화 흐름을 이어 갈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구체적인 성장률 하향폭에 대해 “불확실성이 커서 아직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을 아꼈으나 한은 내부에선 1%대 성장률이 깨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해외 투자은행(IB) 사이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JP모건이 최근 1.2%에서 0.7%로 낮춘 바 있다.
이날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을 종전 3.0%에서 -0.2%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미국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이후 추가 유예에 나서지 않을 경우 감소폭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12조원의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는 우리 경제성장률을 0.1% 포인트 정도만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성장률 제고 효과를 0.2% 포인트로 추정한 바 있다.
박소연·강동용 기자
2025-04-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해외 투자은행,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 이하까지 낮춰
이미지 확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했다. 탄핵 국면 장기화, 미국발 관세폭탄 등이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 전망이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17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 ‘올해 1분기 및 향후 성장 흐름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은 2월에 나온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에도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5%에서 0.2%로 내렸는데 이번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다시 낮춘 것이다.
성장 부진의 배경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로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확대,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 관세정책으로 향후 성장 경로를 예측하는 데 불확실성이 매우 커 5월에 우리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예고했다.
한은이 5월 예정인 수정 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미리 분기 성장률 중간 집계 상황을 공개한 것은 시장의 충격을 줄이고,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금통위 역시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 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돼 둔화 흐름을 이어 갈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구체적인 성장률 하향폭에 대해 “불확실성이 커서 아직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을 아꼈으나 한은 내부에선 1%대 성장률이 깨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해외 투자은행(IB) 사이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JP모건이 최근 1.2%에서 0.7%로 낮춘 바 있다.
이날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을 종전 3.0%에서 -0.2%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미국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이후 추가 유예에 나서지 않을 경우 감소폭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12조원의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는 우리 경제성장률을 0.1% 포인트 정도만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성장률 제고 효과를 0.2% 포인트로 추정한 바 있다.
박소연·강동용 기자
2025-04-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해외 투자은행,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1% 이하까지 낮춰
이미지 확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했다. 탄핵 국면 장기화, 미국발 관세폭탄 등이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 전망이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17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 ‘올해 1분기 및 향후 성장 흐름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은 2월에 나온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앞서 지난 2월에도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5%에서 0.2%로 내렸는데 이번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다시 낮춘 것이다.
성장 부진의 배경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로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확대,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 관세정책으로 향후 성장 경로를 예측하는 데 불확실성이 매우 커 5월에 우리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예고했다.
한은이 5월 예정인 수정 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미리 분기 성장률 중간 집계 상황을 공개한 것은 시장의 충격을 줄이고, 다음달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금통위 역시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 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돼 둔화 흐름을 이어 갈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구체적인 성장률 하향폭에 대해 “불확실성이 커서 아직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을 아꼈으나 한은 내부에선 1%대 성장률이 깨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해외 투자은행(IB) 사이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JP모건이 최근 1.2%에서 0.7%로 낮춘 바 있다.
이날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을 종전 3.0%에서 -0.2%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미국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이후 추가 유예에 나서지 않을 경우 감소폭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12조원의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는 우리 경제성장률을 0.1% 포인트 정도만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성장률 제고 효과를 0.2% 포인트로 추정한 바 있다.
박소연·강동용 기자
2025-04-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