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학력평가 가채점 분석
확률과통계 1등급 4.5% 뿐
1등급 92% 언어와매체 ‘쏠림’
“국수탐 282점 이상 의대 지원권”
이미지 확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시행된 28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답안지에 마킹하고 있다. 뉴스1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시행된 28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답안지에 마킹하고 있다. 뉴스1
지난 3월 치러진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학력평가)에서 수학 영역 선택과목 ‘미적분’ 강세가 여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5일 공개한 ‘2024학년도 시행 고3 3월 학력평가 가채점 분석’ 결과를 보면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94.9%가 미적분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학생 가운데 미적분 응시 비율은 52.7%였는데, 1등급 내 비율이 훨씬 높았다.
반면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비중은 4.5%에 그쳤다. 전체 학생 중 ‘확률과 통계’ 응시 비율(45.5%)에 비교하면 10분의1 수준이다. 1등급 중 ‘기하’를 선택한 비율은 0.6%로 집계됐다. 전체 ‘기하’ 응시 비율(1.80%)보다 약간 낮다.
국어에서도 ‘언어와 매체’가 고득점에 유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1등급 가운데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학생은 91.8%에 달했고, ‘화법과 작문’은 8.2%였다. 선택과목별 응시 비율은 ‘화법과 작문’이 55.7%로 ‘언어와 매체’(44.3%)보다 높았다.
수학에선 ‘미적분’, 국어에서 ‘언어와 매체’ 수험생이 1등급을 더 많이 받는 현상은 2022학년도 통합 수능 도입 이후 지속되고 있다. 현 수능 체제에서는 국어와 수학 점수는 공통과목 점수를 바탕으로 선택과목 점수를 보정한다. 이 때문에 학력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학생들의 ‘언어와 매체’, ‘미적분’ 쏠림이 심해지면서 고득점을 받는 현상도 강화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수학 영역 등급별 선택과목 비율.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

수학 영역 등급별 선택과목 비율.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
3월 학력평가에서 미적분과 과탐을 함께 선택한 자연계생의 비율은 지난해 3월 학력평가보다 3%포인트 오른 52.9%로 추정됐다. 반면 확률과통계-사탐 선택은 6.6%포인트 하락했다.
영어 1등급 비율은 12.48%로 추정됐다. 지난해 대학수학능력시험 때의 1등급 비율(4.71%)보다 크게 올라 평이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회는 원점수 기준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과학탐구가 총 282점 이상일 경우 전국 의대에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자연계열 학과는 268점이 커트라인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회는 “대입제도는 작년과 변화가 없으나 의대 정원 증가, 무전공 선발이 실행될지, 어떤 전형에 인원이 배분될지에 따라 입시에 큰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고3 수험생들은 졸업생들이 응시하는 6월 모의평가 성적 추이까지 잘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김지예 기자
3월 학력평가 가채점 분석
확률과통계 1등급 4.5% 뿐
1등급 92% 언어와매체 ‘쏠림’
“국수탐 282점 이상 의대 지원권”
이미지 확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시행된 28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답안지에 마킹하고 있다. 뉴스1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시행된 28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답안지에 마킹하고 있다. 뉴스1
지난 3월 치러진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학력평가)에서 수학 영역 선택과목 ‘미적분’ 강세가 여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5일 공개한 ‘2024학년도 시행 고3 3월 학력평가 가채점 분석’ 결과를 보면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94.9%가 미적분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학생 가운데 미적분 응시 비율은 52.7%였는데, 1등급 내 비율이 훨씬 높았다.
반면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비중은 4.5%에 그쳤다. 전체 학생 중 ‘확률과 통계’ 응시 비율(45.5%)에 비교하면 10분의1 수준이다. 1등급 중 ‘기하’를 선택한 비율은 0.6%로 집계됐다. 전체 ‘기하’ 응시 비율(1.80%)보다 약간 낮다.
국어에서도 ‘언어와 매체’가 고득점에 유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1등급 가운데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학생은 91.8%에 달했고, ‘화법과 작문’은 8.2%였다. 선택과목별 응시 비율은 ‘화법과 작문’이 55.7%로 ‘언어와 매체’(44.3%)보다 높았다.
수학에선 ‘미적분’, 국어에서 ‘언어와 매체’ 수험생이 1등급을 더 많이 받는 현상은 2022학년도 통합 수능 도입 이후 지속되고 있다. 현 수능 체제에서는 국어와 수학 점수는 공통과목 점수를 바탕으로 선택과목 점수를 보정한다. 이 때문에 학력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학생들의 ‘언어와 매체’, ‘미적분’ 쏠림이 심해지면서 고득점을 받는 현상도 강화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수학 영역 등급별 선택과목 비율.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

수학 영역 등급별 선택과목 비율.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
3월 학력평가에서 미적분과 과탐을 함께 선택한 자연계생의 비율은 지난해 3월 학력평가보다 3%포인트 오른 52.9%로 추정됐다. 반면 확률과통계-사탐 선택은 6.6%포인트 하락했다.
영어 1등급 비율은 12.48%로 추정됐다. 지난해 대학수학능력시험 때의 1등급 비율(4.71%)보다 크게 올라 평이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회는 원점수 기준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과학탐구가 총 282점 이상일 경우 전국 의대에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자연계열 학과는 268점이 커트라인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회는 “대입제도는 작년과 변화가 없으나 의대 정원 증가, 무전공 선발이 실행될지, 어떤 전형에 인원이 배분될지에 따라 입시에 큰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고3 수험생들은 졸업생들이 응시하는 6월 모의평가 성적 추이까지 잘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김지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