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국회의장은 27일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력과 협치의 정치를 만들어 내는 일이 국회의장으로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4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된 김 의장은 이날 중부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경제가 복합위기로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국민통합의 정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우리나라는 많은 복합위기를 극복해 오면서 경제적으로 상당한 저력이 생겼다”면서 “윤석열 정부 집권 초기 여러 어려운 상황이지만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위기 극복 및 잘할 수 있다는 능력과 역량을 갖춘 에너지를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원 구성 지연과 관련, 김 의장은 “후반기 국회의장에 대한 선출 시한은 법으로 강제하지 않고 있다”면서 “국회법을 개정해 후반기 국회도 정확히 언제 열어야 한다는 강제조항을 두고, 정부에 대한 견제와 입법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회의장은 삼권분립의 민주주의 원칙을 반드시 살려야 하는 막중한 자리”라며 “지금처럼 민생경제가 어려울 때는 여야가 서로 협력해서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최소 70~80% 국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법안과 예산안, 민생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8월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신경전에 대해 “SNS가 발달하면서 소수의 의견이 절대다수의 의견인 것처럼 호도될 때가 많다”며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정치적 명분보다는 내 가정의 안정이라는 실리적인 측면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어느 정당이나 계파든 사라질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김 의장은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에는 “관련 입법을 충실히 뒷받침해 임기 중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헌론과 관련, “나라의 근본 틀을 바꿔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과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아 사회적 합의로 반드시 개헌을 완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김 의장은 삼권분립이 제대로 정착되는 국회 운영과 헌법에 명시된 국회 예산 심의·의결권 대폭 강화, 국회 중심 공공외교 강화 등을 강조했다.
김재득·라다솜기자
김진표 국회의장은 27일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력과 협치의 정치를 만들어 내는 일이 국회의장으로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4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된 김 의장은 이날 중부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경제가 복합위기로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국민통합의 정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우리나라는 많은 복합위기를 극복해 오면서 경제적으로 상당한 저력이 생겼다”면서 “윤석열 정부 집권 초기 여러 어려운 상황이지만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위기 극복 및 잘할 수 있다는 능력과 역량을 갖춘 에너지를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원 구성 지연과 관련, 김 의장은 “후반기 국회의장에 대한 선출 시한은 법으로 강제하지 않고 있다”면서 “국회법을 개정해 후반기 국회도 정확히 언제 열어야 한다는 강제조항을 두고, 정부에 대한 견제와 입법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회의장은 삼권분립의 민주주의 원칙을 반드시 살려야 하는 막중한 자리”라며 “지금처럼 민생경제가 어려울 때는 여야가 서로 협력해서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최소 70~80% 국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법안과 예산안, 민생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8월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신경전에 대해 “SNS가 발달하면서 소수의 의견이 절대다수의 의견인 것처럼 호도될 때가 많다”며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정치적 명분보다는 내 가정의 안정이라는 실리적인 측면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어느 정당이나 계파든 사라질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김 의장은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에는 “관련 입법을 충실히 뒷받침해 임기 중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헌론과 관련, “나라의 근본 틀을 바꿔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과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아 사회적 합의로 반드시 개헌을 완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김 의장은 삼권분립이 제대로 정착되는 국회 운영과 헌법에 명시된 국회 예산 심의·의결권 대폭 강화, 국회 중심 공공외교 강화 등을 강조했다.
김재득·라다솜기자
김진표 국회의장은 27일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력과 협치의 정치를 만들어 내는 일이 국회의장으로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4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된 김 의장은 이날 중부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경제가 복합위기로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국민통합의 정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우리나라는 많은 복합위기를 극복해 오면서 경제적으로 상당한 저력이 생겼다”면서 “윤석열 정부 집권 초기 여러 어려운 상황이지만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위기 극복 및 잘할 수 있다는 능력과 역량을 갖춘 에너지를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원 구성 지연과 관련, 김 의장은 “후반기 국회의장에 대한 선출 시한은 법으로 강제하지 않고 있다”면서 “국회법을 개정해 후반기 국회도 정확히 언제 열어야 한다는 강제조항을 두고, 정부에 대한 견제와 입법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회의장은 삼권분립의 민주주의 원칙을 반드시 살려야 하는 막중한 자리”라며 “지금처럼 민생경제가 어려울 때는 여야가 서로 협력해서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최소 70~80% 국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법안과 예산안, 민생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8월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신경전에 대해 “SNS가 발달하면서 소수의 의견이 절대다수의 의견인 것처럼 호도될 때가 많다”며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정치적 명분보다는 내 가정의 안정이라는 실리적인 측면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어느 정당이나 계파든 사라질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김 의장은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에는 “관련 입법을 충실히 뒷받침해 임기 중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헌론과 관련, “나라의 근본 틀을 바꿔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과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아 사회적 합의로 반드시 개헌을 완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김 의장은 삼권분립이 제대로 정착되는 국회 운영과 헌법에 명시된 국회 예산 심의·의결권 대폭 강화, 국회 중심 공공외교 강화 등을 강조했다.
김재득·라다솜기자
김진표 국회의장은 27일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력과 협치의 정치를 만들어 내는 일이 국회의장으로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4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에 선출된 김 의장은 이날 중부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경제가 복합위기로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국민통합의 정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우리나라는 많은 복합위기를 극복해 오면서 경제적으로 상당한 저력이 생겼다”면서 “윤석열 정부 집권 초기 여러 어려운 상황이지만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위기 극복 및 잘할 수 있다는 능력과 역량을 갖춘 에너지를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원 구성 지연과 관련, 김 의장은 “후반기 국회의장에 대한 선출 시한은 법으로 강제하지 않고 있다”면서 “국회법을 개정해 후반기 국회도 정확히 언제 열어야 한다는 강제조항을 두고, 정부에 대한 견제와 입법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여소야대 상황에서 국회의장은 삼권분립의 민주주의 원칙을 반드시 살려야 하는 막중한 자리”라며 “지금처럼 민생경제가 어려울 때는 여야가 서로 협력해서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최소 70~80% 국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법안과 예산안, 민생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8월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간 신경전에 대해 “SNS가 발달하면서 소수의 의견이 절대다수의 의견인 것처럼 호도될 때가 많다”며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정치적 명분보다는 내 가정의 안정이라는 실리적인 측면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어느 정당이나 계파든 사라질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김 의장은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에는 “관련 입법을 충실히 뒷받침해 임기 중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헌론과 관련, “나라의 근본 틀을 바꿔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과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모아 사회적 합의로 반드시 개헌을 완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김 의장은 삼권분립이 제대로 정착되는 국회 운영과 헌법에 명시된 국회 예산 심의·의결권 대폭 강화, 국회 중심 공공외교 강화 등을 강조했다.
김재득·라다솜기자